감염 및 면역학 전공
교 과 목 명(국문) | 교 과 목 명(영문) | 비 고 |
---|---|---|
감염1 | Infection 1 | |
감염2 | Infection 2 | |
면역1 | Immunity 1 | |
면역2 | Immunity 2 | |
감염 및 면역학의 최신연구동향 | Recent Research Trend in Infection and Immunity | |
감염 및 면역학의 연구기법 | Research Methods in Infection and Immunology |
대사와 노화 전공
교 과 목 명(국문) | 교 과 목 명(영문) | 비 고 |
---|---|---|
대사성질환의 생화학 | Biochemistry of Metabolic Diseases | |
단백질 생화학 | Protein Biochemistry | |
유전체 역학 특론 | Chromatin Dynamics | |
의생명테이터분석을 위한 R프로그래밍 기초&활용 | R Programing Basic & Application for Biomedical Data Analysis | |
세포 대사와 유전자 발현 조절 | Cellular Metabolism and Gene Expression Regulation | |
약물 유전학 및 약물유전체학 | Pharmacogenetics and Pharmacogenomics |
분자유전 및 병리학 전공
교 과 목 명(국문) | 교 과 목 명(영문) | 비 고 |
---|---|---|
병리학의 기초 및 실험기법 | Pathologic Basis and Practical Technology | |
병리학의 원리와 실제1 | Pathologic Principles and Practice 1 | |
병리학의 원리와 실제2 | Pathologic Principles and Practice 2 | |
병리학의 원리와 실제3 | Pathologic Principles and Practice 3 | |
병리학의 원리와 실제4 | Pathologic Principles and Practice 4 | |
병리학의 원리와 실제5 | Pathologic Principles and Practice 5 |
사회의학 전공
교 과 목 명(국문) | 교 과 목 명(영문) | 비 고 |
---|---|---|
사회의학세미나 1 | Social Medicine Seminar 1 | |
사회의학세미나 2 | Social Medicine Seminar 2 | |
지역사회의학 | Community Medicine | |
역학적방법론 | Epidemiologic Methods | |
생활습관과 질병 | Lifestyle and Disease | |
법의병리학 | Forensic Pathology |
세포분자의학 전공
교 과 목 명(국문) | 교 과 목 명(영문) | 비 고 |
---|---|---|
세포생물학 |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| |
기능유전체학 | Functional Genomics | |
동물세포연구기법 | Animal Cell Culture | |
세포정보전달계학 | Signal Transduction | |
세포분자생리학 | Cellular and Molecular Physiology | |
체액의학 | Body Fluid |
신경과학 전공
교 과 목 명(국문) | 교 과 목 명(영문) | 비 고 |
---|---|---|
임상신경생리학 | Clinical Neurophysiology | |
분자신경약리학과 치료제개발 |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nd Development of Therapeution Agent | |
인지신경과학 및 치매 | Cognitive Neuroscience and Dementia | |
신경학적질환의 세포분자생물학적 이해 | Molecular and Cellular Bases of Neurological Disorders | |
회복신경학 | Restorative Neurology | |
기능신경해부학 | Functional Neuroanatomy |
종양생물학 전공
교 과 목 명(국문) | 교 과 목 명(영문) | 비 고 |
---|---|---|
종양생물학 세미나 | Tumor Biology Seminar | |
임상종양학 | Clinical Oncology | |
종양학개론 | General Concept of Oncology | |
종양분자생물학 | Oncogene Molecular Biology | |
종양신호전달 | Signal Transduction of Cancer Cell | |
암유전학 | Cancer Genetics |
임상의학 전공
교 과 목 명(국문) | 교 과 목 명(영문) | 비 고 |
---|---|---|
임상의학통계론 | Statistics in Clinical Medicine | |
기초실험기법 | Basic Experiment Technique | |
임상의학세미나1 | Seminar for Clinical Medicine 1 | |
임상의학세미나2 | Seminar for Clinical Medicine 2 | |
임상의학세미나3 | Seminar for Clinical Medicine 3 | |
임상의학세미나4 | Seminar for Clinical Medicine 4 | |
임상의학특강1 | Special Lecture in Clinical Medicine 1 | |
임상의학특강2 | Special Lecture in Clinical Medicine 2 | |
임상의학특강3 | Special Lecture in Clinical Medicine 3 | |
임상의학특강4 | Special Lecture in Clinical Medicine 4 |
줄기세포중개의학 전공
교 과 목 명(국문) | 교 과 목 명(영문) | 비 고 |
---|---|---|
줄기세포 분화 특론 | Principles of Stem Cell Differentiation | |
역분화 개론 | Principles of Cellular Reprogramming | |
세포 리프로그래밍 실습 | Cellular Reprogramming Laboratory I | |
줄기세포분화 실습 | Differentiation of Stem cells and Laboratory | |
세포치료 특론 | Advanced Cell replacement Therapy |
첨단중개의약학 전공
교 과 목 명(국문) | 교 과 목 명(영문) | 비 고 |
---|---|---|
신약개발 개론 | Introduction to New Drug Development | |
신약타겟 연구 | Target Study for New Drug Development | |
비임상연구 특론 | Advanced Preclinical Study | |
첨단신약 연구개발론 | Advanced Bio-drug Development | |
약동약력학 및 임상평가법 | Clinical Pharmacodynamics and Evaluation Methods | |
임상약물유전학 | Clinical Pharmacogenetics |
해부학 전공
교 과 목 명(국문) | 교 과 목 명(영문) | 비 고 |
---|---|---|
신경해부학 | Neuroanatomy | |
국소해부학 | Regional Anatomy | |
임상해부학 | Clinical Anatomy | |
체질인류학 | Physical Anthropology | |
형태학연구론 | Study of Morphological Methods | |
미세수술해부학 | Microsurgical Anatomy |